전체 글228 알프레트 아들러 알프레트 아들러 (1870년 2월 7일 ~ 1937년 5월 28일)'은 빈에서 출생하고 자란 오스트리아의 유대계 의사, 심리치료사로서 개인심리학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아들러가 중요하게 생각한 것 아들러는 한결같은 사회에 속한 실제로서의 개인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프로이트의 환원론적 인간관을 반대하며, 인간을 더는 분류하거나 분리할 수 없는 완전한 통합체로 보았다. 아들러는 인간은 완성을 역동적으로 추구하는 개인이라고 생각했고, 개인이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느냐에 관심을 갖고 집중했다. 상담 과정에서 상담실에 자발적으로 찾아와 이야기하는 사람들의 문제는 인생 초기에 형성한 생활양식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 내담자는 자신이 가진 긍정적 자질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 뚜렷한 목적의식과 .. 2023. 5. 1. 칼 구스타프 융 생애 카를 융의 아버지는 폴 융으로 바젤에서 이름이 널리 알려진 약학 교수였던 카를 구스타프 융(1794-1864)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포롱은 경제적인 성공을 원했으나 이루지 못했고, 스위스 개혁 교회의 목사로 평생 지냈다. 카를 융의 어머니인 에밀리 플레이 스바 크는 스위스에 거주한 후손으로 바젤의 기독교도이며 학자였던 사무엘 프레이스바크의 둘째 부인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사무엘은 바젤에 있는 개혁 교단의 대표에게 주어지는 지위를 가졌으며, 바젤 대학의 교수이며 작가였다. 융의 부친인 폴 융은 라우펜에 있는 더 큰 교구로 임명되었으며(융이 6실 때) 그때, 아내와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융의 어머니는 성격이 특이했으며 우울증을 앓았고, 침실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고, 착란 증상도 보였다. 카.. 2023. 5. 1. 손양원 목사 손양원의 삶 손양원은 1902년 6월 3일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구성리에서 손종일(칠원 교회) 장로와 김은수 집사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당시 그의 이름은 손연준이었는데 훗날 그가 애양원을 맡아하면서부터 손양원으로 개명했다. 손양원은 부모의 신앙을 따라서 믿음이 성숙했고 일본까지 가서 공부하는 배움의 열정, 애국정신 그리고 봉사의 모범적인 배경에서 성장하였다. 손종일은 1908년 온 가족과 함께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13년 칠원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공부하던 중 궁성요배 반대로 퇴학당하였으나 호주에서 온 맹호은 선교사의 도움으로 15세 때인 1917년 이 학교를 졸업하게 되었다. 그리고 2년 후 도움받은 맹호은 선교사로부터 세례를 받는다. 1919년에는 서울 중동중학교에 재학 도중 그의 아버지 손.. 2023. 2. 9. 도스토옙스키 문학 활동 1861년 형과 함께 잡지 《시대》를 발간하고, 《학대받는 사람들》, 《죽음의 집 기록》을 연재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나, 이듬해 발행 금지당하였다. 1864년 형과 함께 새로운 잡지 《세기》를 창간하였으나 실패하여 큰 빚을 지게 되었다. 1866년 걸작 《죄와 벌》을 완성하였다. 1867년부터 외국, 특히 드레스덴에 거주하면서 《백치》, 《악령》 등을 쓰고 귀국하였다. 1874년 《미성년》을 발표하여 큰돈을 벌어 빈곤한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시베리아 유배 시절에 악화한 지병인 간질과 취미로 즐기던 도박 등이 창작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그의 작품 속에 중요한 요소들로 간질과 도박 등이 자주 등장한다. 도박은 그의 인생을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했고, 빚을 갚기 위해 출판사와 무리.. 2023. 2. 9. 톨스토이 작품세계 톨스토이는 일상의 형식적인 것을 부정하고 인간의 거짓, 허위, 가식, 기만을 벗겨내고자 했다. “톨스토이 이전에는 진정한 농민의 모습이란 없었다”는 레닌의 말처럼, 톨스토이는 러시아 제국에서 혁명이 준비되고 있던 시기를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게 묘사하면서, 그의 문학과 사상을 사회혁명에 용해했다. 나아가서 전 인류의 예술적 발전을 한 걸음 진전시키는 데 그의 문학과 사상이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인간의 심리 분석’과 ‘개인과 역사 사이의 모순 분석’을 통하여 최상의 리얼리즘을 성취해 냈다. 생애 1828년 9월 9일에 러시아 남부 툴라 근처의 야스다야 폴라에서나 태어났다. 니콜라이 일 리치 톨스토이 백작과 마리야 올스타야 백작 부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 집.. 2023. 2. 9. 세종대왕 생애 1397년(태조 6년) 5월 15일(음력 4월 10일), 한성 준수방(서울 종로구 통인동)에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당시 정안 군이던 아버지 태종과 어머니 민 씨(원경왕후)의 여섯 번째 자녀이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날 당시 형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1396-1486)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으로 조선의 왕자 가운데 가장 장수하였다. 이 보와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등 동복 친누나 세 명이 있었다. 아명은 막동(莫同)이고, 이름은 도(祹)이다.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좋아하였으며, 두 형과 함께 빈객으로 임명된 개성 군 이래와 변계량에게 학문을 닦았다. 이후 정몽주의 문하생인 권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책을 한시도 손에 놓지 않아 눈병과 과로로 건강을.. 2023. 2. 8. 이전 1 ··· 34 35 36 37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