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학111

도스토옙스키 문학 활동 1861년 형과 함께 잡지 《시대》를 발간하고, 《학대받는 사람들》, 《죽음의 집 기록》을 연재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나, 이듬해 발행 금지당하였다. 1864년 형과 함께 새로운 잡지 《세기》를 창간하였으나 실패하여 큰 빚을 지게 되었다. 1866년 걸작 《죄와 벌》을 완성하였다. 1867년부터 외국, 특히 드레스덴에 거주하면서 《백치》, 《악령》 등을 쓰고 귀국하였다. 1874년 《미성년》을 발표하여 큰돈을 벌어 빈곤한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시베리아 유배 시절에 악화한 지병인 간질과 취미로 즐기던 도박 등이 창작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그의 작품 속에 중요한 요소들로 간질과 도박 등이 자주 등장한다. 도박은 그의 인생을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했고, 빚을 갚기 위해 출판사와 무리.. 2023. 2. 9.
톨스토이 작품세계 톨스토이는 일상의 형식적인 것을 부정하고 인간의 거짓, 허위, 가식, 기만을 벗겨내고자 했다. “톨스토이 이전에는 진정한 농민의 모습이란 없었다”는 레닌의 말처럼, 톨스토이는 러시아 제국에서 혁명이 준비되고 있던 시기를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게 묘사하면서, 그의 문학과 사상을 사회혁명에 용해했다. 나아가서 전 인류의 예술적 발전을 한 걸음 진전시키는 데 그의 문학과 사상이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인간의 심리 분석’과 ‘개인과 역사 사이의 모순 분석’을 통하여 최상의 리얼리즘을 성취해 냈다. 생애 1828년 9월 9일에 러시아 남부 툴라 근처의 야스다야 폴라에서나 태어났다. 니콜라이 일 리치 톨스토이 백작과 마리야 올스타야 백작 부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 집.. 2023. 2. 9.
세종대왕 생애 1397년(태조 6년) 5월 15일(음력 4월 10일), 한성 준수방(서울 종로구 통인동)에서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당시 정안 군이던 아버지 태종과 어머니 민 씨(원경왕후)의 여섯 번째 자녀이자,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날 당시 형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1396-1486)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으로 조선의 왕자 가운데 가장 장수하였다. 이 보와 정순공주, 경정공주, 경안공주 등 동복 친누나 세 명이 있었다. 아명은 막동(莫同)이고, 이름은 도(祹)이다. 어려서부터 독서와 공부를 좋아하였으며, 두 형과 함께 빈객으로 임명된 개성 군 이래와 변계량에게 학문을 닦았다. 이후 정몽주의 문하생인 권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책을 한시도 손에 놓지 않아 눈병과 과로로 건강을.. 2023. 2. 8.
모나리자 모나리자 "모나"(mona)는 유부녀 이름 앞에 붙이는 이탈리아어 경칭이고, "리자"(Lisa)는 초상화의 모델이 된 여인의 이름이다. 즉, 한국어로 하면 "리자 여사"라는 뜻이 된다. 모나리자는 영어로 Mona Lisa 표기하며,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그린 초상화로, 현재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작업을 처음 시작한 것은 1503년경으로 미루어 생각되며 의뢰자에게 전달하지 못하게 되자 자신이 보관하며 틈틈이 작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프랑수아 1세의 초청으로 프랑스로 이주한 후에도 조금씩 작업을 하여 1517년경에 프랑스에서 완성하였다고 한다. 눈썹이 없는 것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인데 이에 대한 해석은 의견이 수없이 많으며 이에 따라 미.. 2023. 2. 8.
철학, 종교학 철학 《윤리 형이상학의 정초》의 첫 부분에서, 이마누엘 칸트는 고대 그리스 철학을 자연학과 윤리학 그리고 논리학의 세 학문으로 나눈다. 그것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 17세기의 물리학(또는 자연 철학), 19세기의 심리학과 20세기의 인공 지능과 언어학에 이르기까지 - 개별 학문 분야로 분리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 철학은 학문 그 자체, 고대 그리스에서 지혜에 대한 사랑을 의미했다고 뜻하였고 전통상으로 철학은 세계와 인간과 사물과 현상의 가치와 궁극적인 뜻을 향한 본질적이고 총체다운 천착을 뜻했다. 이에 더하여 현대철학은 철학에 기초한 사고인 전제나 문제 명확화, 개념 엄밀과 명제 간 관계 명료화를 이용해 제 주제를 논하는 언어철학과 논리학에 상당한 비중을 둔다. [3] 철학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의.. 2023. 2. 6.
음악, 연극, 무용, 공연예술 음악 사학 음악을 연구하는 학문은 음악 사학이라고 하며 이는 인문학의 영역에 속한다. 음악 사학은 음악을 생산, 재현, 재생산하는 분야와는 구별된다 음악(音樂)은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예술이다. 그러나 그 표기 및 보존은 시각적 전달 수단으로 악보를 사용한다. 음악은 서양음악과 전통음악 등 지역별로, 고대음악과 현대음악 등 시대별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음악이란 단어는 순수한 음악을 가리키는 단어이므로 음악에 비슷한 단어는 대중음악이다. 인간의 고도의 감성적, 지성적 활동에서 생산되어 나오는 음악은 인류의 문화 발전사에서 동서양을 구별하여 논하지 않고 매우 일찍 인간 생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를 잡았고 인류 문화 발전의 총체적 원동력이 되어온 동시.. 2023.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