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 있는데 허리가 아픈 이유? (정적자세, 골반기울기, 척추부하)

by 럭키영 2025. 7. 25.

아침 스트레칭

 

오랜 시간 서 있어야 하는 상황에서 허리가 점점 뻐근해지고 통증까지 번졌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겁니다. 겉보기에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서 있는 단순한 동작이지만, 자세가 틀어져 있다면 척추와 골반, 허리 주변 근육에 오히려 더 많은 부하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골반 기울기나 체중 중심이 비대칭으로 유지되면, 한쪽 허리에 하중이 집중되며 장시간 서 있기만 해도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서 있기’라는 정적인 자세 속에 숨어 있는 허리 통증의 원인을 설명하고, 스스로 자세를 점검하고 바르게 서는 루틴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서 있기만 해도 허리가 아픈 이유

앉은 자세나 걷는 자세는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많아 자세의 흐름이 계속 바뀝니다. 그러나 서 있는 자세는 한 번 잘못된 정렬로 고정되면 그 상태로 체중이 집중되며 특정 부위에 지속적인 하중을 유발합니다. 대표적으로 골반이 전방 혹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 척추가 그 기울기에 따라 반사적으로 꺾이게 되며 허리 근육과 인대에 과도한 부담을 줍니다. 특히 한쪽 발에 체중을 더 실은 채 서 있는 습관은 골반의 수평을 무너뜨리고, 요추 주변 근육의 좌우 긴장도에 차이를 발생시킵니다. 이렇게 반복된 비대칭은 결국 허리의 뻐근함과 요추 주위 통증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복부 힘이 부족하거나 배를 앞으로 내민 자세는 요추 전만을 심화시키고, 그 결과 장시간 서 있기만 해도 허리가 아파지는 현상을 만들게 됩니다.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나의 정적자세는 안전할까?

다음 항목을 통해 평소 ‘서 있는 자세’에서 나타나는 습관과 그로 인한 신체 반응을 점검해 보세요. - 한쪽 발에 체중을 실은 채로 자주 서 있는 편이다. - 서 있을 때 배가 앞으로 나오고, 허리가 꺾인 듯한 느낌이 있다. - 어깨가 말려 있거나, 등 전체가 굽는 느낌이 자주 든다. - 거울로 보면 골반이 한쪽으로 더 기울거나 들려 있는 듯 보인다. - 오래 서 있을수록 허리 중심이 당기거나 뻐근한 증상이 반복된다. - 다리 길이가 다른 느낌, 또는 한쪽 무릎이 자주 아프다. - 의식적으로 몸을 펴지 않으면, 항상 무게 중심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쏠린다. 3개 이상 해당된다면 정적 자세에서 골반과 척추 정렬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서 있기만 해도 허리가 불편해진다면, 요추 주위 근육에 비대칭 하중이 반복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바르게 서 있는 루틴: 척추를 지키는 기본자세

허리가 편안한 서 있는 자세는 척추와 골반이 중립 정렬을 이루고, 체중이 양발에 고르게 실린 상태를 말합니다. 먼저 발은 어깨너비로 벌리고, 양발을 평행하게 바닥에 붙여야 합니다. 무릎은 잠기지 않게 약간 여유를 두고, 골반은 앞뒤로 치우치지 않도록 복부에 가볍게 힘을 줍니다. 어깨는 편안하게 뒤로 열어 귀와 수직선상에 두고, 턱은 가볍게 당긴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때 복부의 중심을 ‘척추 앞쪽에서 지탱한다’는 느낌으로 상체 무게를 조절하면, 허리에 불필요한 긴장이 줄어들고 요추가 안정적인 곡선을 유지하게 됩니다. 5~10분에 한 번씩 체중을 좌우로 이동하거나, 발뒤꿈치와 앞꿈치에 번갈아 무게를 실어주는 간단한 움직임도 허리 통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서 있을 때 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

장시간 서 있는 상황에서도 할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허리 주변 근육의 긴장을 줄이고, 자세의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양팔을 머리 위로 올려 기지개를 켜듯 스트레칭하면서 척추를 길게 늘여줍니다. - 한쪽 다리를 뒤로 살짝 접은 상태에서 복부에 힘을 주며 허벅지 앞쪽을 늘리는 동작은 골반 기울기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 벽을 짚고 한쪽 다리를 뒤로 밀며 종아리와 햄스트링을 늘려주는 동작도 하체 정렬에 도움이 됩니다. - 발뒤꿈치를 들었다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면 종아리 혈류 순환과 함께 자세 균형 회복에 기여합니다. 이러한 동작은 단 1~2분 만에도 정적자세로 인한 근육 피로를 줄여주며, 허리 통증을 미리 차단할 수 있습니다.

결론: 서 있는 자세에도 균형이 필요합니다

서 있기만 해도 허리가 아프다는 것은, 단순한 체력 문제라기보다 잘못된 정렬이 반복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몸은 균형을 스스로 회복하려 하지만, 틀어진 자세가 고착화되면 점점 더 큰 부담이 특정 부위에 집중됩니다. 올바른 정적자세를 유지한다는 것은 단지 예쁜 자세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증 없는 일상을 위한 기본 조건입니다. 오늘 하루 얼마나 자주 한쪽 다리에만 기대 서 있었는지, 무게 중심이 어디로 쏠려 있었는지 떠올려보세요. 척추를 지키는 가장 쉬운 실천은, ‘잘 서 있는 것’에서 시작됩니다.